최근소식

논문

2025년 Nature Cancer:An in situ engineered chimeric IL-2 receptor potentiates the tumoricidal activity of proinflammatory CAR macrophages in renal cell carcinoma

페이지 정보

작성자 PnH 조회55회 작성일 25-05-18 15:10

본문

 

이 연구는 CAR-M 세포의 염증성 표현형이 합성 IL-2 수용체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으며, 이는 CAR-M 세포 치료의 항종양 면역 치료에 유익하며 다른 고형 악성 종양에도 폭넓은 적용 가능성이 있습니다.

산둥대학의 장신이 교수, 스벤캉 교수, 정웨이창 교수 등이 Nature의 자회사 인 Nature Cancer 에 " 현장에서 조작된 키메라 IL-2 수용체는 신세포 암에서 염증성 CAR 대식세포의 종양 살상 활동을 강화한다"라는 제목의 연구 논문을 발표했습니다.

이 연구에서는 신 세포 암 치료를 위해 현장 조작된 키메라 IL-2 수용체를 통해 CAR-M 세포의 종양 살상 활동을 강화하는 새로운 현장 CAR-M 세포 치료법을 개발했습니다 .



12f80b2a69826f861a96df94b2fd4633_1747548562_3632.png




이번 최신 연구에서 연구팀은 키메라 항원 수용체 대식세포(CAR-M)의 염증성 표현형을 조절하고 지속적인 항종양 면역을 강화하기 위해 현장 공학적으로 개발된 키메라 인터루킨(IL)-2 신호전달 수용체(CSR)를 보고 했습니다 .

구체적으로, 연구팀이 맞춤화한 지질 나노입자(LNP)는 이중 원형 RNA를 대식세포에 효과적으로 도입하여 공동 자극 신호 전달 기능을 가진 키메라 항원 수용체-대식세포(CAR-M)를 생성할 수 있습니다. CAR-M의 세포 내 염증 신호 전달 경로는 합성 IL-2 수용체를 통해 IL-2 치료제에 의해 활성화되어 CAR-M이 항종양 표현형으로 전환되도록 유도할 수 있습니다. 신장암 마우스 모델 에서 , 하이드로젤을 이용한 LNP와 IL-2 치료를 병행하면 면역억제성 종양 미세환경이 재형성되고 종양 퇴행이 촉진되었습니다.





12f80b2a69826f861a96df94b2fd4633_1747548562_3107.png





전반적으로 이 연구는 CAR-M 세포의 염증성 표현형이 합성 IL-2 수용체에 의해 조절될 수 있음을 보여주며, 이는 CAR-M 세포 치료의 항 종양 면역 요법 에 유익 하며 다른 고형 악성 종양 에 폭넓은 적용 가능성이 있습니다 .

Nature Cancer 저널에서도 "신장암 치료를 위한 생체 내 대식세포 공학" 이라는 제목의 뉴스와 의견 기사를 동시에 게재했다는 점도 언급할 가치가 있습니다 .

이 논문은 CAR-대식세포 치료가 고형 종양의 전임상 모델에서 좋은 활성을 보였다고 지적합니다. 장신이의 연구팀은 CAR 기술과 지질 나노입자(LNP)를 결합하여 생체 내 대식세포 엔지니어링을 위한 플랫폼을 구현했습니다. 이를 통해 지속적인 종양 살상 활동을 하는 염증성 CAR 대식세포를 생성할 수 있었으며, 이는 신세포 암에 대한 효과적인 치료법이 될 것입니다.













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​               

안녕하세요 PnH 입니다

저희 PnH 는 기존의 폐쇄적이고 의존적이였던 암정보에서 벗어나,

원하면 누구나 언제든 찾을 수 있도록 '입증된 암정보의 공개'를 목표로 하고있습니다.


저희 PnH 는 전세계의 암환자분들에게 효과적이고, 입증된 암치료정보를 제공하며

루테시움, CAR-T 카티, TCR-T 티시알티, TIL 틸, 표적치료, 면역치료 등

신뢰도 높은 치료정보와, 검증된 논문을 직접 번역하여 제공하고 있습니다.

(때문에 자료의 불펌은 금지합니다.)


암종별 연구, 치료법, 임상 소식을 누구보다 빠르게 제공해 드리며

환자 스스로 정보를 제대로 알고, 찾고, 이해하실 수 있도록 많은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습니다.

감사합니다.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​